종목명 | 관련주인 이유 | 관련 테마 |
---|---|---|
한국종합기술(023350) |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신세계프라퍼티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관광단지 지정 및 조성계획 승인 용역계약을 체결하였음 | 상수도관 교체, 관광단지 조성 |
뉴보텍(060260) | 상수도관 교체에 필요한 강관을 제조하고 공급하는 업체로서, 사업의 확대로 인한 수요 증가에 수혜를 받을 것임 | 상수도관 교체, 자원 재활용 소재 |
동양철관(008970) | 상수도관 교체에 필요한 강관을 제조하고 공급하는 업체로서, 사업의 확대로 인한 수요 증가에 수혜를 받을 것임 | 상수도관 교체, 강관 제조 |
상수도 사업은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인프라 사업으로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수도관은 노후화되어 있어 수도 유실율이 OECD 평균보다 높고, 수돗물의 질도 낮은 편입니다. 이에 정부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15조원을 투입하여 상수도관 교체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은 상수도관 제조 및 시공업체뿐만 아니라 수도관 관리 및 점검용 장비 및 솔루션 제공업체에게도 수혜가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수도 사업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와 테마주, 수혜주를 각각 한 종목씩 추천하고, 그 주가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① 대장주: 한국종합기술(023350)
회사 소개
한국종합기술은 상하수도, 수자원개발, 도시계획, 환경, 도로, 교통, 교량, 터널, 항만, 철도 등 엔지니어링 전 분야에서 기획, 타당성조사, 설계, 분석평가, 감리업무 등을 수행하는 건설엔지니어링 회사입니다.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1조 2,000억원 정도입니다.
수익 모델
한국종합기술의 수익 모델은 엔지니어링 용역 수주를 통해 발생합니다. 주요 고객은 국내 공공부문으로, 정부의 SOC 및 재정집행 계획에 따라 시장 규모가 결정됩니다. 해외사업과 관급토목공사 수주로도 일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적
한국종합기술은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3.9% 감소, 영업이익은 170%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4.8%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하락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와 해외사업의 확대로 매출액과 이익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련주인 이유
한국종합기술은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신세계프라퍼티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관광단지 지정 및 조성계획 승인 용역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송산그린시티 내 들어서는 관광단지조성 1단계에 해당하는 “관광단지 지정 및 조성계획 기본설계”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상수도 사업과 관련된 대형 프로젝트로서 한국종합기술의 수주력과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입니다.
현재 주가 평가
한국종합기술의 현재 주가는 12,900원입니다. PER은 11.6배, PBR은 1.4배, ROE는 12.5%입니다. 업종 평균 PER은 14.8배, PBR은 1.7배, ROE는 11.6%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종합기술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저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한국종합기술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로 인한 수주 증가
- 해외사업의 확대로 인한 매출 증가
- 신사업에 대한 투자확대 및 역량 강화로 인한 성장 가능성
- 엔지니어링 전 분야에서의 기술력과 경험으로 인한 시장 점유율 확보
2023년 호재
한국종합기술의 2023년 호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정부의 SOC 투자 확대, 해외사업의 성공적 진행, 신사업의 성과 발표, 상수도 사업 관련 추가 수주
② 테마주: 뉴보텍(060260)
회사 소개
뉴보텍은 상수도관ㆍ하수도관ㆍ빗물저장시설 등을 주요제품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ㆍ하수도관 제조업’과 동사가 영업양수한 ‘자원 재활용 소재사업’ 등 2개의 사업부문을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상하수도사업부문 중에서는 주력제품인 고강성 PVC 이중벽하수관이 동사 매출의 약40%를 차지하여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합니다.
수익 모델
뉴보텍의 수익 모델은 플라스틱 상ㆍ하수도관 제조 및 판매와 자원 재활용 소재 제조 및 판매를 통해 발생합니다. 주요 고객은 국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정부의 상수도관 교체사업과 하수도관 보수공사에 따라 시장 규모가 결정됩니다. 자원 재활용 소재 사업은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액비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2023년 실적
뉴보텍은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 증가, 영업손실은 69.9% 증가, 당기순손실은 74.7%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이 감소한 것에 비해 매출원가는 비교적 적게 감소했고, 판관비는 오히려 증가하며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와 자원 재활용 소재 사업의 성장으로 매출액과 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련주인 이유
뉴보텍은 상수도관 교체사업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기업입니다. 동사는 고강성 PVC 이중벽하수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ㆍ하수도관을 생산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이 높습니다. 또한 동사는 상하수도관 비굴착보수공사를 담당하는 건설사업부의 육성을 통해 매출액 증가와 외형성장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평가
뉴보텍의 현재 주가는 2,380원입니다. PER은 -5.4배, PBR은 0.8배, ROE는 -14.7%입니다. 업종 평균 PER은 11.6배, PBR은 1.4배, ROE는 12.5%입니다. 이를 통해 뉴보텍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저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뉴보텍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로 인한 수주 증가
- 자원 재활용 소재 사업의 성장으로 인한 매출 증가
- 비굴착보수공사 사업의 확대로 인한 시장 점유율 증가
- 플라스틱 상ㆍ하수도관 제조의 기술력과 품질로 인한 경쟁력 확보
2023년 호재나 악재
뉴보텍의 2023년 호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정부의 상수도관 교체사업 예산 확대, 자원 재활용 소재 사업의 수익성 개선, 비굴착보수공사 사업의 추가 수주, 상ㆍ하수도관 제품의 수출 확대
③ 수혜주: 동양철관(008970)
회사 소개
동양철관은 강관부문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주요제품인 가스관, 강관말뚝, 각종 배관 등은 거시경제 변수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건설경기 성장율 및 SOC투자와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동사의 매출 부문은 배관용 도복장강관 등 80.78%, 나관 등 19.22%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익 모델
동양철관의 수익 모델은 강관 제조 및 판매를 통해 발생합니다. 주요 고객은 국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정부의 SOC 투자와 건설경기에 따라 시장 규모가 결정됩니다. 동사는 주요 수출 지역에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요처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적
동양철관은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국내외 수요 급감과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어려운 시장 상황으로 인해 수익성 저하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와 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매출액과 이익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련주인 이유
동양철관은 상수도관 교체사업에 간접적으로 연관된 기업입니다. 동사는 상수도관 교체에 필요한 강관을 제조하고 공급하는 업체로서, 사업의 확대로 인한 수요 증가에 수혜를 받을 것입니다. 또한 동사는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상수도 교체 계획에 따라 관련 주식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평가
동양철관의 현재 주가는 2,050원입니다. PER은 -2.4배, PBR은 0.4배, ROE는 -16.8%입니다. 업종 평균 PER은 11.6배, PBR은 1.4배, ROE는 12.5%입니다. 이를 통해 동양철관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저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동양철관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수도관 교체사업의 본격화로 인한 수요 증가
- 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인한 원가 하락
- 해외시장 개척으로 인한 수출 증가
- 강관 제조의 품질과 기술력으로 인한 경쟁력 확보
2023년 호재나 악재
동양철관의 2023년 호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정부의 상수도관 교체사업 예산 확대, 원자재 가격 하락, 해외 수요 회복, 강관 제품의 품질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