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명 | 종목번호 | 관련주인 이유 | 관련 테마 |
---|---|---|---|
포스코엠텍 | 226440 | 포스코와의 리튬 상용화 사업 협력, 니켈 리튬 고효율 추출 장비 보유 | 리튬호수, 니켈 리튬 |
웰크론한텍 | 076080 | 포스코와의 리튬 상용화 사업 협력, 니켈 리튬 고효율 추출 장비 보유 | 리튬호수, 니켈 리튬 |
에코프로비엠 | 247540 | NCA 양극재의 성능 우위와 테슬라와의 협력관계, 2차전지 소재 전문 기업 | NCA 양극재, 테슬라, 2차전지 |
리튬은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주요 재료입니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리튬의 수요와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리튬 관련주는 리튬을 생산하거나 가공하는 기업들로, 전기차 시장의 호황에 따라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튬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와 테마주, 수혜주를 각각 한 개씩 추천하고, 그 주가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① 포스코엠텍 (리튬 대장주)
회사 소개
포스코엠텍은 포스코그룹의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입니다. 철강제품 포장, 철강원료 공급, 철강공장 위탁운영 등의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알류미늄 탈산제와 마그네슘 등의 비철금속 제품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 철강포장사업: 철강제품을 포장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포장에 필요한 자재와 설비를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사의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철강원료사업: 철강공장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사의 매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위탁운영사업: 철강공장의 운영을 위탁받아 관리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사의 매출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비철금속사업: 알류미늄 탈산제와 마그네슘 등의 비철금속 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동사의 매출의 약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적
포스코엠텍은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6.8% 증가, 영업이익은 41% 증가했습니다. 각 부문별로 사업 이익구조를 개선하였고, 기술개발에 주력하여 성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관련주인 이유
포스코엠텍은 리튬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이 실질적으로 리튬과 더 관련이 있지만 포스코엠텍의 주가 변동폭이 훨씬 컸기 때문에 대장주로 선정되었습니다. 포스코는 리튬 추출 기술 검증을 마치고 상용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포스코엠텍은 2016년부터 포스코에 수산화리튬 설비를 공급하였습니다. 또한 포스코엠텍은 니켈, 리튬의 고효율 추출 장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현재 주가 평가
포스코엠텍의 현재 주가는 2023년 7월 9일 기준으로 1주당 15,900원입니다. 전일 대비 1.27%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은 1조 4,000억원이며, PER은 14.77, PBR은 1.47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포스코엠텍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약간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포스코엠텍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리튬 수요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
- 포스코의 리튬 상용화 사업의 진전과 협력관계
- 알류미늄 탈산제와 마그네슘 등 비철금속 제품의 매출 증대
- 철강포장사업과 포장설비사업의 이익 개선
- 신규 공장 및 설비 투자
2023년 호재나 악재
포스코엠텍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전기차 시장의 더 빠른 성장, 리튬 가격의 급등, 포스코와의 추가 계약 체결, 비철금속 가격의 상승, 신규 공장 및 설비 가동
- 악재: 전기차 시장의 둔화, 리튬 가격의 하락, 포스코와의 계약 해지나 감소, 비철금속 가격의 하락, 신규 공장 및 설비 지연이나 문제 발생
② 웰크론한텍 (리튬 관련주)
회사 소개
웰크론한텍은 물, 환경, 에너지 관련 플랜트 및 플랜트 종합건설을 주사업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발전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건축설계, 감리 및 CM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라이신 및 바이오 사업도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웰크론한텍의 매출은 플랜트 종합건설 69.45%, 식품제약설비 17.41%, 에너지절감산업설비 6.59%, 담수설비 3.29%, 기타 3.26%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플랜트 종합건설은 환경, 에너지, 산업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식품제약설비는 라이신, 바이오, 의약품 등의 제조공장을 설계 및 건설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적
웰크론한텍은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8%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이 상승하였으며 판관비,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이 큰폭으로 증가해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습니다. 동사의 라이신 및 바이오 사업은 개발도상국의 식생활 개선과 세계 육류 소비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사료 수요의 증가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 중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웰크론한텍은 리튬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포스코가 리튬 추출 기술 검증을 마치고 상용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웰크론한텍은 2016년부터 포스코에 수산화리튬 설비를 공급하였습니다. 또한 웰크론한텍은 니켈, 리튬의 고효율 추출 장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현재 주가 평가
웰크론한텍의 현재 주가는 2023년 7월 9일 기준으로 1주당 1,590원입니다. 전일 대비 0.63% 하락했습니다. 시가총액은 1,000억원이며, PER은 -2.43, PBR은 0.77입니다. 업종 평균 PER은 -2.02, PBR은 0.75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웰크론한텍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약간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웰크론한텍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리튬 수요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
- 포스코의 리튬 상용화 사업의 진전과 협력관계
- 라이신 및 바이오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
- 플랜트 종합건설 및 식품제약설비의 수주 증가
2023년 호재나 악재
웰크론한텍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전기차 시장의 더 빠른 성장, 리튬 가격의 급등, 포스코와의 추가 계약 체결, 라이신 및 바이오 사업의 수요 증가, 플랜트 종합건설 및 식품제약설비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
- 악재: 전기차 시장의 둔화, 리튬 가격의 하락, 포스코와의 계약 해지나 감소, 라이신 및 바이오 사업의 경쟁 악화, 플랜트 종합건설 및 식품제약설비의 수주 부진이나 지연
③ 에코프로비엠 (리튬 수혜주)
회사 소개
에코프로비엠은 2차전지 소재 전문 기업입니다. NCA 양극재를 주력제품으로 하며, 전구체 등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Non-IT용 NCA 양극재 수요 확대와 국내외 EV용 하이니켈계 양극재 판매 호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수익 모델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은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 등 100%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극활물질은 NCA, NCM 등으로 구분되며, 전구체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원료입니다. 동사는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적
에코프로비엠은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8% 증가, 영업이익은 110%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9% 증가했습니다. 동사의 Global Non-IT 및 EV용 양극재 판매가 증가하였고 신규 공장 가동률 향상 및 물량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헝가리에 약 1조원을 투자하여 10만 8천톤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24년 하반기부터 양산이 개시될 예정입니다.
관련주인 이유
에코프로비엠은 대표적인 2차전지 관련주입니다. 리튬이온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니켈 리튬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또한 NCA 양극재는 리튬 함량이 높아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 횟수가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NCA 양극재는 테슬라의 주력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평가
에코프로비엠의 현재 주가는 2023년 7월 9일 기준으로 1주당 67,000원입니다. 전일 대비 0.75%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은 6조 4,000억원이며, PER은 29.35, PBR은 5.21입니다. 업종 평균 PER은 28.25, PBR은 4.86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업종 평균보다 약간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리튬 수요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
- NCA 양극재의 성능 우위와 테슬라와의 협력관계
- 신규 공장 및 설비 투자와 해외 시장 진출
- 2차전지 관련 정부 정책 및 지원
2023년 호재나 악재
에코프로비엠의 2023년 호재나 악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재: 전기차 시장의 더 빠른 성장, 리튬 가격의 급등, 테슬라와의 추가 계약 체결, 신규 공장 및 설비 가동, 해외 시장에서의 수주 증가, 2차전지 관련 정부 정책 및 지원의 확대
- 악재: 전기차 시장의 둔화, 리튬 가격의 하락, 테슬라와의 계약 해지나 감소, 신규 공장 및 설비 지연이나 문제 발생,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 악화, 2차전지 관련 정부 정책 및 지원의 축소
결론
이번 글에서는 리튬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인 포스코엠텍, 테마주인 웰크론한텍, 수혜주인 에코프로비엠을 추천하고 주가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리튬 관련주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수요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에 있으며, 각 기업들은 자신들의 강점과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둔화나 리튬 가격의 하락 등의 위험 요인도 존재하므로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